반군 출신… 수감중 경제학 심취해 중도좌파로
입력 : 2010.11.02 03:00
연방 에너지장관 시절, 전력난 해소해 이름 알려
이혼·투병… 역경 딛고 룰라의 경제정책 계승자로
호세프가 세계에서 다섯 번째 넓은 영토와 2억명의 인구를 가진 경제대국 브라질 대통령에 당선되자 BBC 등 세계 언론은 벌써부터 그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,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못지않은 여성지도자로 주목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.
호세프는 1947년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벨루 오리존치에서 태어났다. 아버지는 불가리아 이민자이고 어머니는 브라질인이다. 유년 시절은 부동산 재벌인 아버지 덕에 풍족함을 누렸다. 그러나 대학생 때 사회주의 사상에 빠져 좌익 반군단체에 가담했고, 군부 독재정권(1964~1985년)에 항거하는 투쟁을 벌였다. 1970년부터 3년 동안 투옥돼 고문을 당하기도 했다.
그녀는 "좌익활동을 하면서도 무장활동은 하지 않았다"며 이를 자부심으로 여긴다. 복역 중 경제학에 심취하면서 중도 좌파가 됐고, 출소 뒤 캄피나스 국립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땄다. 1980년 민주노동당(PDT) 창당에 참여했고, 1990년대 초 히우그란지두술주(州)의 주에너지장관이 됐다.
- ▲ 지난 31일 치러진 브라질 대선 결선투표에서 대통령에 당선된 지우마 호세프가 당선이 확정된 후 지지자들과 함께 기뻐하고 있다. 브라질 사상 첫 여성 대통령이 된 호세프는 내년 1월 취임 예정이며, 남녀평등·인권개선·가난극복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공표했다. /AP 뉴시스
2001년 노동자당(PT)으로 옮긴 뒤 이나시오 룰라 다실바 대통령 밑에서 에너지장관과 수석장관(국무총리에 해당)을 지내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. 룰라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지로 지난 3월 30일 집권 여당의 대선후보로 지명됐다.
출마 당시 호세프의 이미지는 좋지 못했다. 두 차례 이혼 경력에다 지난해 임파종 수술까지 받아 건강 문제도 제기됐다. 공직선거 경험도 없었다. 하지만 브라질의 경제호황을 이끌며 지지율 80% 이상이었던 룰라 대통령의 정책 계승자라는 인식이 작용했고, 또 정치 안정을 바라는 유권자들의 신뢰를 받으며 지지율은 급등했다.
또 연방 에너지장관을 하면서 브라질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전력난을 해소한 것과 국영석유기업 페트로브라스의 기틀을 잡았다는 평가도 컸다. 페트로브라스가 지난 9월 700억달러 상당의 유상증자를 받아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업공개(IPO)를 한 토대도 호세프가 닦았다.
룰라는 유세장에서 호세프를 '브라질의 넬슨 만델라'라고 소개했다. 민주운동과 투옥경력 때문이다. 또 경제대국 브라질을 책임질 '국가의 어머니'라며 표를 호소했다. 지난 6월 경쟁자였던 사회민주당 조제 세하 후보를 추월했고, 이후 역전을 허용하지 않았다.
호세프는 당선 직후 '빈곤 퇴치'를 강조했다. 브라질은 2003~2008년 연평균 5%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고, 올해 7%대 성장이 예상되지만 약 2000만명에 이르는 빈민층을 외면하고는 미래가 없다는 신념에서다. 1명의 딸을 두고 있는 호세프는 8월 할머니가 됐다.
'peop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옷빨 끝내주는 아인이~ (0) | 2010.11.18 |
---|---|
김연아 (0) | 2010.11.17 |
董洁 (2) | 2010.11.16 |
《狄仁杰之通天帝国 - 裴东来》등초의 배동래 (0) | 2010.11.15 |
김연아 밴쿠버 2010 - 쇼트 & 프리 (0) | 2010.11.14 |